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자취생이라면 절대 사면 안되는 살림템 5가지

살림이 처음이라 뭐든 사두면 좋을 줄 알았습니까?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10년 차 자취러가 직접 써보고 후회한, 절대 사지 말아야 할 살림템 5가지를 이유와 함께 알려드립니다.

사지 말아야할 살림템 5가지


목차
1. 도입 – 살림템, 다 사면 다 쓰게 될까?
2. 본론 – 자취 실패템 5가지와 그 이유
     • 미니 믹서기
     • 자동 회전식 밀폐용기
     • 접이식 빨래건조대
     • 1인용 전기그릴
     • 대용량 수납함
3. 결론 – 살림은 적게 사고, 많이 쓰는 게 정답

 

살림템, 다 사면 다 쓰게 될까?

자취를 처음 시작하면 꼭 생기는 욕심이 있습니다.

“이것도 있으면 편하겠지?”, “이건 다들 쓴다던데?”

그런 마음으로 인터넷 장바구니에 이것저것 담다 보면 어느새 택배는 쌓이고, 집은 좁아지고, 정작 자주 쓰는 건 몇 개 없더라고요.

 

10년 동안 자취하면서 저는 수많은 살림템을 써보고 버리고 나눔 하고, 그렇게 ‘물건 보는 눈’을 얻게 되었습니다. 블로그나 유튜브 후기만 보고 샀다가 낭패를 본 것도 한두 번이 아니고요.

 

오늘은 제가 직접 써보고 “아, 이건 진짜 비추다!” 싶었던 다섯 가지 아이템을 솔직하게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단순히 안 쓴 게 아니라, 공간만 차지하고 불편하거나, 대체제가 훨씬 나은 물건들이었어요.

자취를 막 시작하신 분들이나, 살림템을 장만하려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취 실패템 5가지와 그 이유

1. 미니 믹서기

“스무디 만들기 딱 좋다”며 샀지만, 청소가 귀찮고 자취방엔 설거지 공간도 부족합니다.

두 번 써보고 싱크대 구석으로 밀려난 게 90% 이상일 것입니다. 대신 과일은 그냥 씹어 먹는 게 제일 빠릅니다.

 

2. 자동 회전식 밀폐용기

요즘 SNS에서 예쁘게 정리된 냉장고 보셨죠? 그거 따라한다고 비싼 밀폐용기를 샀다가, 뚜껑이 안 닫히거나 돌아가지 않아서 스트레스만 쌓였습니다. 결국 일반 락앤락이 최고였습니다. 심플하고, 싸고, 내구성 좋습니다.

 

3. 접이식 빨래건조대

“접이니까 공간 절약!” 하지만 자취방의 현실은 펴놓은 건조대 하나로 방이 꽉 찬다는 것입니다.  거기다 빨래가 무거우면 중심이 흔들려서 쓰러지기 쉽습니다. 차라리 창틀에 걸 수 있는 수건 걸이나 스탠드형 소형 건조대를 추천합니다.

 

4. 1 인용 전기그릴

고기 한번 구워 먹겠다고 샀다가 기름 튀고 냄새 뱁니다. 그리고 다음에 또 꺼내서 닦고 요리할 일이 없게 됩니다. 프라이팬 하나면 충분하고, 환기 문제도 훨씬 덜합니다. 자취방에 연기 감지기 달려 있는 곳도 많다는 점, 잊지 마십시오.

 

5. 대용량 수납함

“수납력 대박!”이라고 사지만, 자취방은 원래 수납함보다 배치가 중요합니다. 커다란 수납함은 한쪽 벽을 막고, 내부는 어정쩡하게 써서 공간 활용이 떨어집니다. 수납함보다 ‘다기능 가구’나 ‘틈새 수납’이 훨씬 실용적입니다.


살림은 적게 사고, 많이 쓰는 게 정답

자취 생활의 핵심은 ‘최소한의 물건으로 최대한의 활용’을 하는 것입니다. 물건을 많이 사면 잘 살게 될 것 같지만, 실제론 짐만 늘고 생활의 효율은 떨어집니다. 정말 필요한 살림템은 자주 쓰는 기본적인 것들입니다. 예를 들면, 프라이팬, 전기포트, 기본 조리도구, 튼튼한 밀폐용기, 간편한 청소 도구 정도만 갖추면 충분히 편한 생활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을 통해 여러분이 “이건 진짜 살까 말까 고민했었는데!” 하는 제품이 있었다면, 한 번 더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특히 자취방이라는 좁은 공간에서는 물건 하나가 생활의 질을 바꿔놓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신중하게 고르는 게 필요합니다.


다음 콘텐츠 예고

👉 “자취 1년차가 후회하는 살림 실수 TOP 5”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전기요금 폭탄을 예방하는 전기요금 절약 방법 BEST 7

전기요금은 매달 고정적인 금액이 통장에서 빠져나갑니다. . 하지만 조금만 신경 쓰면 확실히 전기 사용량과 전기 요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실제 자취생으로서 경험한 전기 절약 실천법 7가지를 정리해봅니다. 목차 1. 전기세, 왜 자취생에게 더 부담일까? 2. 실전 절약 팁 ① 냉장고 위치와 정리의 중요성 3. 실전 절약 팁 ② 멀티탭과 대기전력의 진실 4. 실전 절약 팁 ③ 스마트폰 충전 습관 바꾸기 5. 실전 절약 팁 ④ LED 조명 교체의 경제학 6. 실전 절약 팁 ⑤ 여름과 겨울, 계절별 전기관리법 7. 실전 절약 팁 ⑥ 세탁기와 전자레인지 효율 사용법 8. 실전 절약 팁 ⑦ 전기 요금제와 시간대별 소비 전략 9. 마무리: 전기세 절약은 습관입니다 서론 혼자 사는 사람에게 매월 나가는 고정비용은 스트레스입니다. 특히 전기요금처럼 매달 비슷한 금액이 나가지만 줄이기 어려운 항목은 더욱 그렇습니다. 저도 처음 자취를 시작했을 때 아무 생각 없이 쓰던 전기로 인해 매달 ‘전기요금이 왜 이렇게 많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어느 날 냉장고의 위치를 옮기고, 멀티탭을 새로 사고, 불필요한 전자기기를 줄이기 시작하면서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놀랍게도 다음 달 전기요금이 15% 줄었습니다. 이후 이런 방법을 사용하여 전기요금을 평균 30~40%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효과를 본 전기요금 절약 노하우 7가지를 정리해 드립니다.  본론 1. 냉장고는 햇빛과 거리두기 냉장고는 열을 내는 가전입니다. 햇빛이 직접 닿는 위치나 벽과 너무 밀착된 곳에 두면 냉장 효율이 떨어지면서 전기 소모가 늘어납니다. ✅ 팁: 벽에서 최소 10cm 떨어뜨리고, 직사광선을 피해야 합니다.   2. 멀티탭은 가능 소비전력을 확인하고 구매합니다 대기전력은 ‘꺼져 있는 것처럼 보여도’ 계속 전기를 소비하는 상태입니다. 특히 TV, 전자레인지, 전기밥솥 등은 대기전력만으로도 한 달 수백 원 이상이 납니다. ✅ 팁: 스위치가...

작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수납 노하우

3평이라는 작은 자취방도 넓게 쓸 수 있습니다. 단, 요령이 필요합니다. ‘수납’이라는 키워드로 작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노하우를 소개합니다. 이렇게 수납하면 작은 공간이 지금부터는 넓어지는 마법을 경험하게 됩니다. 목차 1. 좁은 방, 넓게 쓰려면 ‘수납’이 먼저다 2. 수납 전략 ① 수직을 공략하라: 벽 활용법 3. 수납 전략 ② 침대 밑은 황금창고 4. 수납 전략 ③ 보이는 건 줄이고, 숨기는 건 늘려라 5. 수납 전략 ④ 다기능 가구로 면적을 이중 활용 6. 수납 전략 ⑤ 계절별 아이템은 교체식 보관 7. 공간이 넓어지는 습관들 8. 결론: 수납은 기술이 아니라 태도다 서론: 자취생을 위한 공간 활용 마법 자취방에서 가장 먼저 부딪히는 현실적인 문제는 ‘공간 부족’입니다. 3평. 숫자만 보면 작게 느껴지지 않지만, 막상 살아보면 책상 하나, 침대 하나만 넣어도 걸어 다닐 공간이 사라집니다. 좁은 공간은 단순히 불편함의 문제가 아니라, 스트레스가 됩니다. 하지만 모든 자취생이 이 불편을 다 감수하며 사는 건 아닙니다. 어떤 방은 비슷한 크기인데도 훨씬 넓어 보이고, 필요한 물건들이 알차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런 차이는 ‘수납력’에서 나옵니다. 단순히 수납장이 많다는 게 아니라, 공간을 쓰는 ‘방법’이 다른 것입니다. 저는 자취 경력 10년 차로, 이사를 6번 이상 해보며 정말 다양한 구조의 방을 경험했습니다. 오피스텔부터 반지하, 고시원, 원룸까지. 그중에서도 단연 어려웠던 건 ‘3평 자취방’이었습니다. 그동안의 경험을 통해 알게된 공간 활용 팁들을 이 글에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본론: 효율적인 좁은 공간 활용법 1. 수납 전략 ① 수직을 공략하라: 벽 활용법 좁은 공간일수록 바닥이 아니라 ‘벽’을 먼저 봐야 합니다. 수납의 핵심은 ‘공중 점유’입니다. 벽 선반 설치 : 나사 없이 부착 가능한 접착형 선반은 벽을 손상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자취방에 제격입니다. 향수, 화장품, 책 등을 올리면 책상 위 공간이 깔끔해집...

전자제품 고장 원인 5가지와 간단한 수리 방법

고장 난 줄 알고 버릴 뻔한 전자제품, 알고 보면 간단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자취 10년 차의 현실 수리 경험담과 함께, 집에서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전자제품 수리 꿀팁을 알려드립니다. 목차 전자제품, 정말 고장 난 걸까? 간단 점검 리스트 고장 원인 TOP 5와 해결법 자취러가 자주 쓰는 전자제품별 셀프 수리법 전자제품 수명 늘리는 관리 팁 수리 전 확인해야 할 안전 수칙 마무리: 수리 경험을 통해 얻은 깨달음 1. 전자제품, 정말 고장 난 걸까? 간단 점검 리스트 "전자레인지가 갑자기 작동을 안 해!" "이제 완전히 고장났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알고 보니 콘센트가 살짝 빠져 있었던 것입니다. 예전에 저는 고장 난 줄 알고 며칠 동안 라면도 못 끓였던 적이 있습니다. 자취 생활 중 자주 마주치는 이런 순간들은 알고 보면 대부분은 단순한 원인이었던 적이 많았습니다.. 전자제품이 작동하지 않을 때 먼저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가 있습니다. 전원 케이블 확인 : 콘센트가 헐거워 빠진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퓨즈 또는 차단기 : 멀티탭이 과부하로 차단되었을 수 있습니다. 버튼 접촉 불량 : 버튼을 눌렀을 때의 반응을 꼼꼼히 체크해 보세요. 이물질 : 특히 전자레인지나 청소기 필터에 음식물이나 먼지가 껴 작동을 멈추기도 합니다. 이 기본적인 점검만으로도 30% 이상의 고장 문제는 해결됩니다. 2. 고장 원인 TOP 5와 해결법 1. 먼지로 인한 발열 문제 가전제품 내부에 먼지가 쌓이면 열이 제대로 빠지지 않아 과열로 멈춥니다. 특히 노트북, 선풍기, 청소기에서 자주 발생하죠. 청소만 잘해줘도 성능이 확 달라집니다. 2. 고무 패킹 손상 전기포트, 전기밥솥의 고무 패킹이 마모되면 내부 압력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아 작동 이상이 생깁니다. 이건 인터넷에서 부품만 구매해서 직접 교체 가능해요. 3. 배터리 노후화 무선 제품들의 경우, 배터리 수명이 다되어 충전이 되지 않...